이 곳은 장편소설 "달빛(月光)"의 작가 안유형(본명 안경희 安景姬)의 홈페이지입니다.

Tuesday, April 5, 2011

"달빛" 67쪽 "인터넷 이야기"




안녕하세요!
YH입니다.

벌써 4월이 왔습니다.
지난 며칠간 부슬부슬 비가 내렸습니다.
봄비가 온 거지요.
오늘은 차분히 인터넷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달빛"고향, 고향 집 67쪽에 "인터넷"에 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저는 어릴 적부터 책읽기를 좋아했는데 외국에 나와서는 새롭게 닥치는 현지 생활에 적응하다 보니 바쁘게 살았던 것 같습니다.
20여 년 전(1980년대 말)에는 한국에서 부쳐온 책을 보거나 이웃끼리 한국 신문을 돌려 보곤 했습니다.
1년 반 전에 작고하신 저의 아버님께서는 그 당시에 "신동아"와 "월간 예향"을 매달 보내주셨습니다. 저의 집이 광주(光州)이고 제가 미술을 전공했기 때문에 예술의 혼을 잃지 말라는 깊은 생각이셨던 것 같습니다.

"신동아"와 "현대 문학"은 제가 아주 어릴 적부터 아버님께서 정기구독하셨습니다.
저는 어렸지만(초등학교? 1960년대 말) 두 월간지 뒤에 수록된 소설 읽기를 무척 좋아했습니다.
왜냐하면 한글로 쓰여 있었기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신동아"의 활자체가 세로로 몇 칸 나열되었고 한자가 많이 섞여 있었습니다.
"현대 문학"에는 박경리 선생님의 장편소설 "토지"가 흑백의 나무판화 그림과 함께 오랫동안 연재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도 그때 보았던 목판화의 장면이 어렴풋이 떠오릅니다. (머리를 땋거나 낭자를 한 여자의 옆모습입니다.)
몇 년 전에 방영된 "토지"는 드라마를 빌려다 보았지만 그 당시에 제가 읽었던 "서희"라는 이름은 지금까지도 따로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온 뒤로는 책도 귀하고 신문도 귀하던 소도시에서 어쩌다 한국에서 사람이 오거나 방문할 때 가져온 책은 아주 큰 선물이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그렇습니다. 제가 사는 주에는 한국 서점이 없고 네 시간을 운전해야 하는 큰 도시에 한국서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부터는 누구나 온라인으로 책이나 물건들을 쉽게 구입할 수 있게 되었지요.

인터넷......
오래 전 미국의 야후 사이트가 처음으로 생겼을 때는 정말 신기했답니다.
제가 영어를 잘하진 못했지만 야후에는 많은 정보와 뉴스들을 잘 정리해서 꾸려 놓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국의 야후 사이트가 생겼습니다.
그때의 반가움과 신기함이란 이루 말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외국에 살다 보면 늘 고국의 소식이 궁금해지곤 하기 때문입니다.
이제 갓 고국을 떠나온 사람일수록 더 그렇습니다.

그 당시 입과 입을 통해서 전해 들은 이야기들은 자칫하면 포수가 총을 쏘지 않았는데도 곰이 너덧 마리 죽었다는 이야기로 비화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소도시에는 한국신문이 일주일 늦게 도착했기 때문에 늘 신문이 아니라 구문이라고 우스갯 소리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인터넷에 한국의 각 신문사와 포털들이 하나 둘 조그맣게 오픈하면서 새 소식과 다양한 이야기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때의 기분!
마치 환하게 눈이 뜨인 것 같았습니다.

특히 모 신문사에서는 수년간의 월간 잡지를 한꺼번에 수록해 두어 미국에 온 후 한국에 관한 궁금증을 많이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워낙 글읽기를 좋아했으니까요. ^^

처음으로 그 신문사에 회원가입을 해서 "소월"이라는 닉내임으로 글도 올리곤 했습니다. (1999년 가을)
여기에서 저의 눈치 없음(?)이 드러납니다.

한국분들은 "소월"이라는 닉내임을 잘 쓰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는 소월 김정식님은 워낙 유명한 시인이시고
두 번째는 서른셋의 짧은 나이로 가셨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저는 아무런 사심(눈치) 없이 그저 소월의 시를 좋아하기 때문에 무작정 제 아이디를 "소월"로 쓴 것입니다.
이렇듯 한국분들과 외국에 사는 사람들은 사고방식이 약간 차이가 있답니다.
그것을 이해하시려면 외국에서 오래 사시면 됩니다.
감정이 덤덤해지고 단순하고 진솔해집니다.

아무튼 저는 한국의 인터넷이 발달하자 마치 고기가 물을 만난 듯이 글이란 글들은 다 읽기 시작했습니다.
정말 사이트들을 잘 꾸려 놓으셨더군요.

외국에서는 도무지 알 수 없는 각종 병 질환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
인간사 살아가는 심리학 이야기
홈페이지를 잘 꾸미는 기법에 관한 설명들
예술 작품들과 요리 레시피와 창작 글들
하루하루 새로운 내용이 바뀌는 신문들......

인터넷은 훌륭한 백과사전이자 많은 것들을 알기 쉽게 가르쳐 주는 고마운 선생님이었습니다.

만약 제가 사는 곳이 한국처럼 대중교통 시설이 잘 발달하고 친구나 아는 사람이 많고 돌아다니기 좋았다면 인터넷을 가까이하지 않았을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제가 활달하거든요.

그런데 외국에 살면서 채워지지 않는 것들과 시간들......
자연히 인터넷에 눈을 돌리게 되어 있지요.
좋은 글들을 보면 삶의 활력이 생기곤 합니다.
그것들은 잠자는 지각을 두드려 끝없이 생각을 일깨워주기 때문입니다.

지금 세상은 비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과학이 발달하면 할수록 더 그렇게 될 것 같습니다.
저는 인터넷의 발달을 처음부터 주욱 지켜봤기 때문에 엄격히 관리하는 편이라 개인 블로그 몇 개를 꾸려가고 있습니다.

시대가 많이 흐른 지금,
쏟아지는 정보의 바다......
좋은 정보, 정확하고 바른 소식을 잘 가려내는 것도 인터넷 마니아들의 큰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Apr 5, 2011

*** YH 드림 ***

(아, 근데 사진을 보니 제 디지털카메라가 실물보다 더 둥그렇게 찍히는군요! ㅜㅜ)


유형의 시모음

"달빛" 요리 레시피 홈페이지

유형의 다른 레시피 Home